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응서[應徐]~응숙[應宿]~응양[鷹揚]~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응유[應劉]
하늘구경
2020. 8. 22. 12:00
반응형
❏ 응상[凝霜] 얼어붙은 서리. 서리덩이.
❏ 응서[應徐] 삼국시대 건안칠자(建安七子)의 구성원들인 응양(應瑒)과 서간(徐幹)을 가리키는데, 뛰어난 문장으로 조조(曹操)부자(父子)의 예우를 받았다. 곧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학사를 뜻한다.
❏ 응숙[應宿] 낭관(郞官)의 별칭이다. 임금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중앙 조정의 관원을 가리킨다.
❏ 응양[鷹揚] 강태공(姜太公)이 주무왕(周武王)을 도와서 은(殷) 나라의 목야(牧野)를 칠 때 80 노인으로서 매처럼 기운차게 날뛰었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대명(大明)에, 주 무왕(周武王)을 도와 은(殷) 나라를 멸망시킨 태공망(太公望) 여상(呂尙)의 공을 찬미하면서 “태사인 태공망이 마치 매가 날 듯, 무왕을 도우시어 은 나라를 정벌하니, 회전(會戰)하는 그 아침은 맑고 밝았네.[維師尙父 時維鷹揚 涼彼武王 肆伐大商 會朝淸明]”라는 말이 나온다.
❏ 응양위상옹[鷹揚渭上翁] 위수(渭水)에 낚시를 드리우고 문왕(文王)을 기다렸다가 뒤에 무왕(武王)을 도와 은(殷)을 정복하고 주(周) 나라를 세우는 데 큰 공헌을 한 강태공(姜太公)을 이른다.
❏ 응유[應劉] 응유는 삼국(三國) 시대 위(魏)의 왕찬(王粲)·공융(孔融)·진림(陳琳)·완우(阮瑀)·서간(徐幹)과 함께 건안칠자(建安七子)였던 응창(應瑒)과 유정(劉楨)을 말하는데, 위 문제(魏文帝)가 태자(太子)로 있을 적에 이들을 총애하여 항상 동궁에 불러 놓고 주연(酒宴)을 베풀고 즐겼다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