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조[六朝]~육지[肉芝]~육진[六塵]~육진[肉陣]
❏ 육조[六朝] 오(吳)·동진(東晉)·송(宋)·제(齊)·양(梁)·진(陳)을 말한다.
❏ 육조흥폐[六朝興廢] 금릉에서 지은 이백은 시에 “육대 흥하고 망한 나라에 술 석 잔으로 너를 위해 노래한다.[六代興亡國 三盃爲爾歌]”는 구절이 있다.
❏ 육지[肉芝] 선약(仙藥)으로 땅속에서 나는데 인삼과 같은 모양이다. 신선전(神仙傳)에 “소정지(蕭靜之)가 땅을 파다가 작은 물건을 얻었는데 인삼과 같이 윤택하고 희므로 그것을 삶아 먹었더니 한 달이 지나자 치발(齒髮)이 다시 났다. 한 도사(道士)가 ‘이는 육지다.’ 했다.” 하였다.
❏ 육진[六鎭] 세종 때 김종서(金宗瑞)가 여진족이 남하하는 것을 방비하기 위하여 두만강 유역에 쌓은 여섯 개의 진을 말한다.
❏ 육진[六塵] 안(眼)·이(耳)·설(舌)·신(身)·의(意)를 통하여 몸속에 들어가서 정심(淨心)을 더럽히고 진성(眞性)을 흐리게 하는 것. 즉, 색(色)·성(聲)·향(香)·미(味)·촉(觸)·법(法)을 말한다.
❏ 육진[肉陣] 당 현종(唐玄宗) 때 외척(外戚)인 양국충(楊國忠)이 권세를 휘두르며 극도의 호화 생활을 하였는데, 겨울철에는 살집이 좋은 비첩(婢妾)들을 앞에 세워 바람을 막고 그들의 온기로 방안을 따뜻하게 하면서 이를 육진(肉陣)이라고 불렀다는 고사가 전한다. <開元天寶遺事 下 肉陣>
❏ 육진[六塵] 불가(佛家)의 용어로, 육경(六境)이라고도 하는데 인식 대상인 색(色), 성(聲), 향(香), 미(味), 촉(觸), 법(法)에서 일어나는 여섯 가지 욕정(欲情)을 말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