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육서[六書]~육서고[六書故]~육선[六仙]~육소[蓼蕭]~육손[陸遜]
하늘구경
2020. 8. 19. 14:12
반응형
❏ 육서[六書] 한자의 구성 및 활용에 관한 여섯 종류인데, 그 명칭에는 허신(許愼)・정현(鄭玄)・반고(班固)의 설이 각각 다르다. 허신의 설문해자(說文解字) 서(叙)에는, 지사(指事)・상형(象形)・형성(形聲)・회의(會意)・전주(轉注)・가차(假借)라 했고, 정현은 주례(周禮) 주에서, 지사를 처사(處事), 형성을 해성(諧聲)이라 했으며, 반고는 한서(漢書) 예문지(藝文志)에서, 지사를 상사(象事), 형성을 상성(象聲), 회의를 상의(象意)라 했음.
❏ 육서고[六書故] 책 이름이다. 송(宋) 나라 대동(戴侗)이 편찬한 것으로 총 33권이며, 내용은 육서(六書)로써 글자의 뜻을 밝히고, 수(數)・천문(天文)・지리(地理)・인(人)・동물(動物)・식물(植物)・공사(工事)・잡(雜)・의(疑) 등의 부(部)로 분류하였다.
❏ 육서략[六書略] <통지> 20약(略) 중의 하나이다.
❏ 육선[六仙] 육선은 도승지・좌승지・우승지・좌부승지・우부승지・동부승지 등 여섯 승지를 가리킨다.
❏ 육소[蓼蕭]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편명인데, 이 시는 제후들이 주(周) 나라 천자에게 조회하였을 적에 천자가 그들에게 사랑과 은혜로써 주연(酒宴)을 베풀며 연주한 악가이다.
❏ 육손[陸遜] 오(吳) 나라 사람. 손권(孫權)의 도독(都督)으로서 형주를 쳐 빼앗는 데 결정적 역할을 하였고, 그 후로도 유비(劉備)를 이릉(夷陵)에서 패퇴시키고, 조휴(曹休)의 군대를 무찌르는 등 많은 전공을 세웠다. <三國志>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