육과생관[陸果生棺]~육관[六館]~육국황금인[六國黃金印]~육군[六軍]
❏ 육공[陸公] 진(晉)나라 육탐미(陸探微)가 그림을 잘 그렸다.
❏ 육과생관[陸果生棺] 명 나라 시인 육과, 생관은 생존시에 미리 만들어 놓은 관을 가리킨 것으로, 육과가 생존시에 미리 자신의 관을 만들어 놓고 죽기를 기다렸기 때문에 한 말이다.
❏ 육관[六館] 국자감(國子監) 즉 성균관의 별칭이다. 당(唐) 나라 때 이곳에서 6학(學)을 수업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 육관[六官] 궁녀(宮女)와 같다.
❏ 육구몽[陸龜蒙] 당(唐) 나라 고사(高士)로 육경(六經)의 대의(大義)와 춘추(春秋)에 밝았다. 벼슬을 버리고 언제나 동정호(洞庭湖)에 배타고 낚시질하였으며, 속인들과 사귀기를 즐기지 아니하여 비록 찾아오더라도 만나주지 않고, 말도 타지 않았으며, 저서가 매우 많다. <新唐書 卷一百九十六 陸龜蒙傳>
❏ 육구몽[陸龜蒙] 당(唐) 나라 때 사람으로 송강포리(松江浦里)에서 강호산인(江湖散人)이라 자호하고 세속과 떨어져 한유하게 살았다.
❏ 육국황금인[六國黃金印] 전국 시대 소진(蘇秦)의 고사를 말한다. 사기(史記) 소진열전(蘇秦列傳)에 “나에게 낙양의 부곽전 2경(頃)만 있었던들 내 어찌 육국(六國)의 정승인(政丞印)을 찰 수 있었겠는가.[使我有洛陽負郭田二頃 豈能佩六國相印乎]”라고 하였다.
❏ 육군[六郡] 육군은 한(漢)의 농서(隴西)・천서(天水)・안정(安定)・북지(北地)・상군(上郡)・서하(西河)를 가리키는데, 한 나라 때에 육군의 양가(良家) 자제 중에 말을 잘 타고 활을 잘 쏘는 자로 우림군(羽林軍)을 만들었다.
❏ 육군[六軍] 주(周)나라 군대의 편제. 곧 천자의 군대를 가리킨다.
❏ 육군양가둔세류[六郡良家屯細柳] 한(漢) 나라가 일어나매 육군 양가의 자제들을 뽑아 우림(羽林)과 기문(期門)을 만들고 재주와 힘에 따라 벼슬을 주었는데, 명장(名將)이 많이 나왔다. 육군의 농서(隴西)・천수(天水)・안정(安定)・북지(北地)・상군(上郡)・서하(西河)를 말한다. 세류(細柳).
❏ 육군양가자[六郡良家子] 여섯 고을은 농서(隴西)・천수(天水)・안정(安定)・북지(北地)・상군(上郡)・서하(西河)등을 말하는데, 한 나라 때 그 지방 양가집 자식들을 황제의 위군(衛軍)인 우림(羽林)・기문(期門)으로 선발하였고 그들 가운데 재능이 있는 자는 관리로 임용하였다 한다. <漢書 卷二十八 地理志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