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극[畫戟], 화금[火金], 화당[華堂], 화도박수[鞾刀帕首], 화두[話頭]
❏ 화극[畫戟] 당(唐) 나라 때 3품 이상 고위 관원의 저택 문 앞에 세워 두었던 채색(彩色)한 목창(木槍)으로 고관의 집을 뜻한다.
❏ 화금[火金] 옛날 불씨를 만들던 도구로, 부싯돌을 쳐서 불이 일어나게 하는 쇳조각인 부시를 이른다.
❏ 화기염염경조벽[火旂焰焰驚趙壁] 붉은 깃발은 한(漢) 나라는 적색(赤色)을 숭상했으므로 곧 한 나라 기를 가리킨다. 한신은 진여를 맞아 싸울 적에 거짓 패하여 달아나면서 미리 군사들에게 조 나라 군사들이 추격해 오는 틈을 타서 한 나라의 붉은 깃발을 꽂도록 하였다. 뒤늦게 이 사실을 발견한 조 나라 군사들은 크게 놀라 도망쳤으므로 한신은 쉽게 승리하였다. <漢書 韓信傳>
❏ 화누역경[火耨力耕] 역(力)은 도(刀)의 잘못이다. 삼국유사(三國遺事) 엄장광덕전(嚴莊廣德傳)에 “대종역경(大種力耕)”이라 한 것도 “화종도경(火種刀耕)”의 잘못이다.
❏ 화담[花潭] 서경덕(徐敬德)의 호이자, 개성 박연폭포 아래에 있던 못 이름이다.
❏ 화당[華堂] 관원의 역소(役所)를 가리킨다.
❏ 화당[畫堂] 화당은 단청한 큰 집을 이른다.
❏ 화당전위[畫堂傳位] 황제가 죽고 황태자가 제위(帝位)에 오르게 된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성제(成帝)가 갑관 화당(甲館畫堂)에서 태어나 적황손(適皇孫)이 된 고사에서 유래하여 이후 화당을 황태자의 전고(典故)로 쓰게 되었다. <漢書 元后傳>
❏ 화덕[火德] 염제 신농씨(炎帝神農氏)가 화덕(火德)으로 왕(王)하였다.
❏ 화덕[和德] 천지 음양의 조화를 이른다.
❏ 화도박수[鞾刀帕首] 무인(武人)의 상복(常服)이다.
❏ 화도편[和陶篇] 진(晉) 나라 도잠(陶潛)의 시에 화운(和韻)한 시편(詩篇)을 말한다.
❏ 화두[話頭] 종사(宗師)가 어떤 법을 말하여 후배를 지도하는 것이 마치 훌륭한 장인(匠人)이 재료를 마음대로 다루어 좋은 물건을 만들어내는 것과 같이, 선(禪)을 참구할 때에는 종사로부터 크게 의문되는 한 법을 받아 일념으로 그 의문을 참구하여 심지(心地)를 깨닫게 하는 공부의 한 방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