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홍몽[鴻濛], 홍문[鴻門],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보[鴻寶], 홍부[紅腐]

하늘구경 2025. 9. 29. 16:11
반응형

홍몽[鴻濛] 우주가 형성되기 이전부터 있어 온 천지의 원기, 혹은 그와 같은 혼돈 상태를 가리키는 말로서, 끝없이 펼쳐진 바다나 하늘을 뜻하기도 한다.

홍무[洪武] 명 태조(明太祖)의 연호이다.

홍무체[洪武體] 홍무는 명 나라 태조의 연호로, 그때 새로 나온 서체라는 뜻이다.

홍문[鴻門] 지금의 중국 섬서성(陝西省) 임동현(臨潼縣) 동쪽이다. 항우(項羽)가 진나라를 멸하기 직전 유방(劉邦)을 이곳에 불러 잔치를 벌여 죽이려했다. 역사상 이를 홍문지연(鴻門之宴)이라 한다. 항우본기(項羽本紀)에 자세히 보인다.

홍범[洪範] 서경(書經)의 편명. 홍(洪)은 대(大), 범(範)은 법(法)으로 천하를 다스리는 큰 법이라는 뜻. 기자가 주 무왕(周武王)에게 진술한 것인데, 모두 9조목으로 되어 있어 홍범구주(洪範九疇)라 칭한다.

홍범구주[洪範九疇] 홍범은 서경(書經)의 편명(篇名)으로 나라를 다스리는 큰 법이란 뜻이며, 구주는 아홉 가지 무리란 뜻으로 옛날 우(禹) 임금이 홍수를 다스릴 때에 낙수(洛水)에서 거북이가 나왔는데 그 등에 1에서 9까지의 점이 그려져 있었다 한다. 그리하여 이것을 보고 홍범 구주를 만들었다 하는데, 첫번째는 금(金)·목(木)·수(水)·화(火)·토(土)의 오행(五行)이고, 두 번째는 모(貌)·언(言)·시(視)·청(廳)·사(思)의 오사(五事)이며, 세 번째는 식(食)·화(貨)·사(祀)·사공(司空)·사도(司徒)·사구(司寇)·빈(賓)·사(師)의 팔정(八政)이고, 네 번째는 세(歲)·월(月)·일(日)·성신(星辰)·역수(曆數)의 오기(五紀)이며, 다섯 번째는 황극(皇極)이고, 여섯 번째는 정직(正直)·강극(剛克)·유극(柔克)의 삼덕(三德)이며, 일곱 번째는 우(雨)·제(霽)·몽(蒙)·역(驛)·극(克)·정(貞)·회(悔)의 계의(稽疑)이고, 여덟 번째는 우(雨)·양(暘)·욱(燠)·한(寒)·풍(風)·시(時)의 서징(庶徵)이며, 아홉 번째는 수(壽)·부(富)·강녕(康寧)·유호덕(攸好德)·고종명(考終命)의 오복(五福)과 흉단절(凶短折)·병(病)·우(憂)·빈(貧)·악(惡)·약(弱)의 육극(六極)이다.

홍범수[洪範數] 서경(書經) 홍범의 아홉 조항의 수를 말하는데, 그 아홉 조항은 곧 오행(五行), 오사(五事), 팔정(八政), 오기(五紀), 황극(皇極), 삼덕(三德), 계의(稽疑), 서징(庶徵), 오복(五福)이다.

홍벽천구[弘璧天球] 홍벽(弘璧)과 천구(天球)는 다 아주 귀중한 보옥(寶玉) 이름인데, 즉 그런 귀중한 보옥처럼 소중하게 여겨진다는 뜻이다.

홍보[鴻寶] 홍보는 한(韓) 나라 때 회남왕(淮南王) 유안(劉安)이 베개 속에 비장(祕藏)했다는 도술서(道術書), 즉 홍보원비서(鴻寶苑祕書)를 말한다. 이 책에는 신선이 귀신을 시켜 금단(金丹)을 만드는 방술이 적혀 있다고 한다.

홍부[紅腐] 오래되어서 붉게 썩은 곡식을 말한다. 한서(漢書) 가연지전(賈捐之傳)에 “태창의 곡식이 붉게 썩어서 먹을 수 없다.”고 한 말이 있다.

홍불자[洪佛子] 송 나라 선화 연간에 홍호(洪皓)가 쌀을 풀어 6만 5천 사람을 살리매 나갈 때마다 사람들이 손을 이마에 얹으며 불자(佛子)라고 불렀다. 만년에, 그가 고향으로 돌아가 어머니를 봉양하기를 청하니, 임금이 말하되 “경의 뜻이 임금을 잊지 않거늘 어찌 짐을 버리고 가는가.”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