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원기[圓機]~원기[鴛機]~원기[猿騎]~원길[元吉]
하늘구경
2020. 4. 21. 15:34
반응형
❏ 원금함석전해평[寃禽銜石塡海平] 염제(炎帝)의 딸이 동해(東海)에 빠져 죽은 뒤 정위(精衛)라는 새로 변해 그 원한을 풀려고 늘 서산(西山)의 목석(木石)을 입에다 물고서 동해에 빠뜨려 메우려고 했던 이야기가 전한다. <山海經 北山經>
❏ 원기[圓機] 선가(禪家)의 설법에 관한 용어(用語). 원활(圓滑)한 기봉(機鋒)이란 말이다.
❏ 원기[元氣] 원기(元氣)는 천지의 정기(精氣)로 만물을 만들어 내는 것이다.
❏ 원기[鴛機] 원래는 수놓는 제구를 말한 것이다.
❏ 원기[猿騎] 원숭이가 말탄다는 말로 말타는 놀이의 한 가지이다. 업중기(鄴中記)에 “기아(伎兒)에게 옷을 입혀 원숭이의 모양을 만들고, 달리는 말을 타고서 옆구리에도 붙었다 말머리에도 붙었다 말꼬리에도 붙으면서 말은 여전히 달리게 하였다. 그러므로 원기라 했다.”라 하였다.
❏ 원기[園綺] 진(秦) 나라와 한(漢) 나라가 교체될 무렵, 상산(商山)에 은거해 살았던 네 명의 노인 즉 상산사호(商山四皓) 가운데 동원공(東園公)과 기리계(綺里季)를 가리킨다. <史記 留侯世家>
❏ 원기활[圓機活] 선가(禪家)의 용어(用語)인데, 기봉(機鋒)이 원활(圓活)한다는 뜻이다.
❏ 원길[元吉] 역경(易經) 곤괘 육오효사(六五爻辭)에 “누른 치마를 입은 형상이니 크게 길하다.”라고 하였는데, 황은 중앙 토(土)의 빛으로 중도(中道)를 뜻하고 치마는 하체의 옷으로 겸손을 뜻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