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우탁[牛鐸]~우투성[牛鬪聲]~우혈[禹穴]~우혜[禹蹊]
하늘구경
2020. 3. 17. 09:03
반응형
❏ 우탁[牛鐸] 진(晉) 나라 순욱(荀勗)이 길을 가다가 소방울 소리[牛鐸]를 듣고는 나중에 악기의 음률을 조정할 때 그 소방울 소리를 수소문해 찾아서 맞추었던 고사가 있다. <晉書 荀勗傳>
❏ 우통[郵筒] 우역(郵驛)을 통해 문서를 전달하는 죽통(竹筒)을 말한다.
❏ 우투성[牛鬪聲] 진(晉) 나라 은중감(殷仲堪)의 아버지가 귀가 이상하게 잘 들리는 병을 앓았는데, 침상 아래에서 개미가 기어다니자 소가 싸운다고 했다는 고사가 있다. <晉書 殷仲堪傳>
❏ 우판[虞坂] 우판은 지명(地名)으로 어떤 준마(駿馬)가 소금 수레를 끌고 우판에 오르다가 자신을 알아줄 백락(伯樂)을 만나자 슬피 울었다는 고사이다.
❏ 우하[虞夏] 순(舜) 임금과 탕왕(湯王)이 다스리던 왕도정치 시대를 말한다.
❏ 우한[羽翰] 서신이나 문장을 뜻한다.
❏ 우혈[禹穴] 우(禹) 임금이 서책을 보관해 두었다는 곳으로, 회계산(會稽山)에 있다고 한다.
❏ 우혈[禹穴] 우임금이 회계에 순수(巡狩)차 회계산에 들렸다가 사망하여 이곳에 묻혔다. 그러나 우임금은 죽은 것이 아니라 회계산 산중에 있는 굴로 들어가 신선이 되었다는 전설도 있는데 우혈이란 그것을 말한다.
❏ 우혜[禹蹊] 하(夏) 나라 우(禹) 임금이 처음으로 행정 구역을 구주(九州)로 나누어 다스리고 공물(貢物)을 책정하였다. <書經 禹貢>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