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잠[虞箴]~우잠[牛涔]~우잠의질[牛涔蟻垤]~우장[羽仗]
❏ 우자모전계[愚字冒前溪] 우 자로 시내 이름을 짓는다는 것은 곧 당(唐) 나라 때 유종원(柳宗元)이 영주(永州) 지방으로 유배되었을 적에 그곳에 있는, 본디 염계(冉溪)라고 불리던 시내를 우계(愚溪)로 개명(改名)하여 자신의 불우한 처지를 묘사한 데서 온 말이다.
❏ 우잠[虞箴] 양웅(揚雄)이 우잠(虞箴)을 지어 사냥하는 것을 경계하였다. 사냥을 맡은 관원을 우인(虞人)이라 한다.
❏ 우잠[虞箴] 우인(虞人)의 경계 말. 주 무왕(周武王)의 태사(太史) 신갑(辛甲)이 백관에게 각자 경계 말을 만들라고 명하니 우인이 임금은 사냥을 삼가야 한다는 것으로 만들었다고 한다. <春秋左傳 襄公 四年>
❏ 우잠[虞箴] 춘추(春秋) 시대에 진(晉) 나라 임금이 사냥을 좋아하므로, 위강(魏絳)이 말하기를 “옛날 주(周) 나라 신갑(辛甲)이 태사(太史)가 되었을 때에, 백관(百官)을 시켜 관잠(官箴)을 지었는데, 산야(山野)의 짐승을 맡은 벼슬인 우인(虞人)의 잠(箴)에 사냥을 경계하는 말이 있었다.”라고 하였다.
❏ 우잠[牛涔] 협소한 것을 뜻한다. 회남자(淮南子)에 “소발굽 자국에 고인 빗물에는 미꾸라지조차 살 수가 없다.”라고 하였다.
❏ 우잠의질[牛涔蟻垤] 우잠은 소 발자국에 괸 물을 말한 것으로, 우잠과 개미둑을 가장 하찮은 산수의 뜻으로 전용(轉用)한 것이다.
❏ 우장[羽仗] 우장은 깃으로 만든 의장(儀仗)이다.
❏ 우재유허비[尤齋遺墟碑] 우재는 송시열(宋時烈)의 호. 송시열이 숙종 15년(1689)에 제주로 귀양을 갔는데 그곳에 세워진 비에 대한 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