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장자[莊子]

조삼모사(朝三暮四)/장자/제물론/

하늘구경 2020. 3. 5. 11:49
반응형

조삼모사(朝三暮四)

 

- 장자(내편) 2편 제물론10-

 

정신과 마음을 통일하려 애쓰면서도, 모든 것이 같음을 알지 못하는 것을 조삼이라고 말한다. 무엇을 조삼이라고 하는가?

 

옛날에 원숭이를 기르는 사람이 원숭이들에게 말했다.

아침에는 세 개 저녁에는 네 개(朝三暮四)를 주겠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모두 화를 내었다. 그래서 다시 말했다.

그러면 아침에 네 개 저녁에 세 개를 주겠다

그러자 원숭이들이 모두 기뻐했다.

 

명분이나 사실에 있어서는 달라진 것이 없는데도 기뻐하고 성내는 다른 반응을 보인 것도 역시 이 때문이다. 그래서 성인은 모든 시비를 조화시켜 균형된 자연에 몸을 쉬는데, 이것을 일컬어 양행(兩行)이라 말한다.

 

- 莊子(內篇) 2篇 齊物論10-

勞神明爲一, 而不知其同也, 謂之朝三. 何謂朝三? 狙公賦芧曰:「朝三而暮四.衆狙皆怒. :「然則朝四而暮三.衆狙皆悅. 名實未虧而喜怒爲用, 亦因是也. 是以聖人和之以是非而休乎天釣, 是之謂兩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