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한비자[韓非子]

유(柔)를 지키는 것을 강(强)이라 한다

하늘구경 2020. 2. 27. 10:48
반응형

()를 지키는 것을 강()이라 한다/한비자/유노/

 

한비자 제21편 유노8]-

 

월왕 구천이 오나라의 신하로 있었을 때, 스스로 방패와 창을 들고 오왕의 방패가 되었기 때문에 오왕 부차를 고소에서 죽일 수가 있었다. 주나라의 문왕은 옥문에서 조롱당하였으나 태연하게 안색을 바꾸지 않았기 때문에 그 아들인 무왕이 주를 목야에서 사로잡을 수 있었던 것이다. 그래서 노자는 ()를 지키는 것을 강()이라 한다(노자 제52)고 했다. 월왕이 패왕이 된 것은 그 옛날 오왕을 섬기는 것을 고통으로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며, 무왕이 왕이 된 것은 그 옛날 조롱을 당하고서도 괴롭게 여기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래서 노자는 성인은 괴로워하지 않는다. 보통 사람이 괴롭게 여기는 것을 괴롭게 여기지 않으니 괴롭지가 않다(노자 제71)고 한 것이다.

 

韓非子 第21篇 喩老8]-

句踐入宦於吳, 身執干戈爲吳王洗馬, 故能殺夫差於姑蘇. 文王見詈於王門, 顔色不變, 而武王擒紂於牧野. 故曰:「守柔曰强.越王之霸也, 不病宦, 武王之王也, 不病詈. 故曰:「聖人之不病也, 以其不病, 是以無病也.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