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각가[牛角歌]~우각횡경[牛角橫經]~우강[禺强]~우강[牛岡]~우개[羽蓋]
❏ 우각가[牛角歌] 빈궁한 선비가 벼슬을 구하는 것을 뜻하는 말이다. 춘추 시대에 영척(甯戚)이 소의 뿔을 두드리면서[扣牛角] 노래를 불러 제 환공(齊桓公)의 상경(上卿)이 된 고사가 있다.
❏ 우각간전사[牛角看前史] 당(唐) 나라 이밀(李密)이 소[牛] 등에 타고 쇠뿔에다 한서(漢書)를 걸어놓고 돌아다니면서도 읽었다 한다. <唐書 李密傳>
❏ 우각상상가[牛角上相歌] 춘추(春秋) 때 위(衛) 나라 영척(甯戚)이 쇠뿔을 두드리며 노래를 부르다가 제 환공(齊桓公)에게 발탁되어 정승이 된 고사이다. 영척(寗戚)은 춘추 시대 위(衛)나라 사람으로 집안이 가난하여 남의 수레를 끌어주면서 살았다. 제(齊)나라 환공(桓公)이 이르자 소의 뿔을 두드리며 백석가(白石歌)를 불렀는데, 환공이 듣고 불러다가 이야기를 나눈 뒤에 현자(賢者)인 줄 알고 대부(大夫)를 삼았다.
❏ 우각횡경[牛角橫經] 소뿔에 경서를 걸치고 봄. 들에 나가 농사일을 하면서도 책을 틈틈이 보는 것을 뜻한다.
❏ 우강[禺强] 우강은 북해(北海)의 신(神)으로 현명자(玄冥子)라고도 한다. 열자(列子) 탕문(湯問)에 “오산(五山)의 뿌리가 매인 데가 없으므로 이리저리 옮겨다니자 선성(仙聖)이 상제(上帝)에게 하소하니 상제는 우강을 명하여 붙어 있게 하였다.”한 말이 있다. 전하여 북쪽을 가리키기도 한다.
❏ 우강[牛岡] 장사 지내기에 좋은 땅을 말한다. 진(晉) 나라 도간(陶侃)이 어려서 어버이 상을 당했을 때 선인(仙人)이 가르쳐 준 대로 소가 졸고 있는 산언덕[牛眠山]에 장사 지낸 뒤로부터 집안이 흥성했다는 고사가 있다. <晉書 周訪傳>
❏ 우강해상삼[禺强海上三] 우강이란 신(神)이 바다 위의 세 산을 옮겼다 한다.
❏ 우개[羽蓋] 깃으로 만든 일산[羽蓋]인데, 한(漢) 나라 승상(丞相) 왕상(王商)이 두 개를 세웠다.
❏ 우객[羽客] 도사(道士). 선인(仙人). 전설(傳說)에 나오는, 날개가 있는 신선(神仙). 날개 달린 것 같다는 뜻에서 하는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