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수위옥[樹爲屋]~수유[首濡]~수유낭[茱萸囊]
하늘구경
2016. 6. 16. 08:48
반응형
❏ 수위옥[樹爲屋] 후한(後漢) 때의 은사(隱士)인 신도반(申屠蟠)이 한실(漢室)이 쇠퇴해짐을 알고는, 이에 양탕(梁碭)의 사이로 들어가 자취를 숨기고, 나무 끝에 인하여 지붕을 얽어 만들고 살면서 스스로 품팔이꾼처럼 행세했던 데서 온 말이다. 옥위수(屋爲樹)
❏ 수유[茱萸] 수유는 수유나무의 열매로, 한방에서 약재로 쓰인다. 서경잡기(西京雜記)의 “한 무제(漢武帝)의 궁인(宮人) 가란(賈蘭)이 9월 9일에 수유를 몸에 차고 국화주를 마시면서 하는 말이 ‘이것들이 사람을 장수하게 만든다.’고 하였다.”에서 나온 것이다. 두시비해(杜詩批解) 권6 구일남전최씨장(九日藍田崔氏莊)에 “오는 해의 이 모임에 어느 누가 건장할꼬. 술에 취해 수유 잡고 자세하게 본다네.[明年此會知誰健 醉把茱萸仔細看]”라 하였다.
❏ 수유[首濡] 주역(周易) 미제괘(未濟卦) 상구효사(上九爻辭)에 “술을 마시며 때를 기다리는 것이 좋으나, 정도에 지나쳐 머리까지 담그게 되면[首濡] 잘못이다.”라고 하였다.
❏ 수유낭[茱萸囊] 후한 때의 풍속으로, 음력 9월 9일이면 수유(茱萸) 열매를 따서 붉은 주머니에 담아가지고 높은 산에 올라가 국화주(菊花酒)를 마시면서 사기(邪氣)를 물리쳤던 고사가 있다.
❏ 수유만[茱萸灣] 양주부(揚州府)에 있는 항만 이름이다. 거기에 수유촌(茱萸村)이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