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관능관[觀能觀]~관덕택궁[觀德澤宮]~관도수[官渡樹]

하늘구경 2014. 12. 22. 09:47
반응형
  • 관능관[觀能觀] 소관(所觀)과 능관. 소는 피동으로, 능은 능동으로 동작하는 것. 관은 마음으로 진리를 관하는 것이다.

  • 관단마[款段馬] 걸음이 느린 말, 또는 조그마한 말을 뜻한다. 후한서(後漢書)관단마와 하택거(下澤車)를 타다.”라 하였고, ()()은 느리다는 뜻이라 하였다.

  • 관대[冠帶] 갓을 쓰고 띠를 맴. 즉 예모(禮貌)를 갖춤을 이르는 말이다.

  • 관대[觀臺] 대상(臺上)에 옥()을 설치하고서 먼 데를 구경하는 곳. 물견대(物見臺)라고도 한다.

  • 관덕택궁[觀德澤宮] 무과(武科) 고시를 말한다. 택궁(澤宮)은 활 쏘는 기예를 시험하는 장소를 가리킨다. <周禮 夏官 司弓矢 註> 또 예기(禮記) 사의(射儀)활쏘기를 통해 성대한 덕을 볼 수가 있다[射者所以觀盛德也]”라고 하였다.

  • 관도[館陶] ()의 이름. 중국 하북성(河北省) 남부, 위하(衛河) 서쪽에 있으며 산동성(山東省)과 인접해있다.

  • 관도기필억매승[觀濤奇筆憶枚乘] () 나라 매승(枚乘)이 오객(吳客)과 초 태자(楚太子)의 문답 형식으로 지은 칠발 팔수(七發八首)’에 광릉(廣陵) 곡강(曲江)에 이는 파도의 장관을 멋지게 묘사한 내용이 나온다. <文選 卷34>

  • 관도수[官渡樹] 관도의 나무. 관도는 중국의 하남(河南) 중모현(中牟縣) 동북쪽에 있는 지명이다. 건안(建安) 5(200)에 조조(曹操)가 관도에서 원소(袁紹)의 군사를 격파하였는데, 당시에 그의 아들 비()가 거기에 버드나무를 심은 뒤 15년이 지나 자기가 심은 나무를 보고 감회에 젖었다는 데서 옛날을 회상하는 전고로 쓰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