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자연이 변화하는 근본 원리가 중요하다

 

- 장자(외편)21편 전자방3-

 

안회가 공자에게 물었다.

선생님께서 걸으시면 저도 걷고, 선생님께서 빨리 걸으시면 저도 빨리 걷고, 선생님께서 달리시면 저도 달립니다. 그러나 선생님께서 먼지도 남기지 않고 달려버리시면 저는 뒤에서 눈만 멀뚱히 뜨고 있습니다.”

공자가 물었다.

무슨 뜻으로 하는 말이냐?”

안회가 대답했다.

선생님께서 걸으시면 저도 걷는다는 것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면 저도 말을 한다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빨리 걸으시면 저도 빨리 걷는다는 것은 선생님께서 이론을 펴시면 저도 이론을 편다는 것입니다. 선생님께서 달리시면 저도 달린다는 것은 선생님께서 도를 말씀하시면 저도 도를 말하겠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먼지도 남기지 않고 달려버리시면 저는 뒤에서 눈만 멀뚱히 뜨고 있을 거라는 말은 선생님께서 말씀하시지 않으셔도 남에게 믿음을 받고, 남과 친하려 하지 않으셔도 남들이 친하게 따르고, 벼슬이나 권력이 없어도 백성들이 굴복해 오는데 그렇게 되는 까닭을 알지 못하겠다는 말입니다.”

공자가 말했다.

어찌 잘 살피지 않을 수가 있겠는가? 슬픔 중에 믿음이 죽는 것 보다 더 큰 슬픔이 없으며, 사람의 죽음은 그 다음 가는 슬픔이다. 해는 동쪽에서 나와 서쪽으로 들어가는데 만물은 모두가 이에 따라 방향을 정한다.

눈이 있고 발이 있는 사람들은 해를 기다렸다 일을 하기 시작한다. 해가 뜨면 세상의 일이 시작되고, 해가 지면 세상의 일도 없어지는 것이다. 만물도 역시 그러니, 그것에 의하여 죽기도 하고 그것에 의하여 살기도 하는 것이다. 우리는 한번 형체를 타고난 이상 스스로를 멸망시키지 않고 되어 가는 대로 맡겨두어야 하며, 밖의 물건을 따라서 움직여야 한다. 변화는 낮이나 밤이나 쉬는 틈이 없으므로 그것이 끝나는 곳은 알 수 없는 것이다.

만물이 다 같이 형체를 타고났지만 운명을 미리 알아 그 앞날을 규정해 놓을 수는 없는 일이다. 그래서 나날이 자연의 변화를 따라갈 뿐이다. 내가 평생토록 너와 한 팔을 끼고 지낸다 하더라도 결국은 서로를 잃게 될 것이니 슬프지 않을 수 있겠느냐?

너는 거의 드러난 나의 겉의 것을 그대로 행하려 하고 있다. 그러나 그것은 이미 지나간 것이다. 그런데도 너는 그것이 현재 존재하는 것이라 생각하고 추구하고 있다. 그것은 마치 텅 빈 시장에 가서 말을 사려고 하는 것과 같다. 내가 너를 생각하는 것도 매우 빨리 잊게 될 순간적인 것이고, 네가 나를 생각하는 것도 매우 빨리 잊게 될 순간적인 것이다. 그렇지만 너는 무엇을 걱정하는가? 비록 옛날의 나를 잊어버린다 하더라도 나에게는 언제나 잊혀질 수 없는 참된 나도 그 중에 존재하는 것이다.”

 

- 莊子(外篇)21篇 田子方3-

顔淵問於仲尼曰:「夫子步亦步, 夫子趨亦趨, 夫子馳亦馳. 夫子奔逸絶塵, 而回瞠若乎後矣!

仲尼曰:「, 何謂邪?

:「夫子步, 亦步也. 夫子言, 亦言也. 夫子趨, 亦趨也. 夫子辯, 亦辯也. 夫子馳, 亦馳也. 夫子言道, 回亦言道也. 及奔逸絶塵而回瞠若乎後者, 夫子不言而信, 不比而周, 無器而民滔乎前, 而不知所以然而已矣.

仲尼曰:「! 可不察與! 夫哀莫大於心死,

人死亦次之. 日出東方而入於西極, 萬物莫不比方, 有首有趾者, 待是而後成功, 是出則存, 是入則亡. 萬物亦然, 有待也而死, 有待也而生. 吾一受其成形, 而不化以待盡, 效物而動, 日夜無隙, 而不知其所終. 薰然其成形, 知命不能規乎其前, 丘以是日徂.

吾終身與汝交一臂而失之, 可不哀與! 女殆著乎吾所以著也. 彼已盡矣, 而女求之以爲有, 是求馬於唐肆也. 吾服女也甚忘, 女服吾也亦甚忘. 雖然, 女奚患焉! 雖忘乎故吾, 吾有不忘者存.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