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이익으로 맺어진 인연은 곤경에 처하여 버린다

 

- 장자(외편)20편 산목5-

 

공자가 자상호에게 물었다.

저는 노나라에서 두 번 쫓겨나고, 송나라에서는 뽑힌 나무에 죽을 뻔하였고, 위나라에서는 쫓겨났으며, 송나라와 주나라에서는 궁지에 몰렸고, 진과 채 두 나라 사이에서는 포위되었었습니다. 이렇게 여러 차례 어려움을 당하게 되자, 친한 사람들과의 교분은 점차 멀어지고 제자들도 차츰 흩어지게 되었는데, 이것은 어찌 된 까닭입니까?”

자상호가 대답했다.

그대는 가나라에서 도망하였다는 사람의 이야기를 듣지 못하였습니까? 임회라고 하는 사람이 천금 가치가 나가는 옥을 버린 채 아기를 업고 도망하였답니다. 어떤 사람이 그에게

값어치로 따지자면 아기는 별로 값어치가 나가지 않으며, 짐 되기로 말하면 더 힘이 듭니다. 그런데도 값나가는 옥을 버리고 아기를 업고 도망한 것은 무슨 까닭입니까?’

라고 물었더니, 임회가

옥은 이익으로 결합된 것이지만 아기는 하늘이 맺어 준 것입니다. 이익으로 맺어진 사람들은 어려움과 곤란함을 당하게 되면 서로를 버리게 되지만, 하늘이 맺어준 사람들은 어려움과 곤란함을 당하게 되면 서로 단결하는 것입니다. 서로 버리려는 것과 서로 단결하는 것은 역시 그 거리가 매우 멉니다.’

라고 대답하였답니다.

또한, 군자의 사귐은 물같이 담백하지만 소인의 사귐은 단술처럼 달콤합니다. 군자의 사귐은 담백하기 때문에 친해지고, 소인의 사귐은 달콤하기 때문에 끊어지게 되는 것입니다. 다시 말씀드려 까닭 없이 맺어진 것은 까닭 없이 떨어져 나가게 된다는 것입니다.

공자가 말했다.

삼가 가르침을 잘 받들겠습니다.”

그리고 공자는 천천히 걸으면서 돌아와 학문을 끊고 책을 버렸다. 제자들은 그의 앞에서 허리를 굽히지 않게 되었으나 그들의 친애는 더욱 높아만 갔다.

다음날 자상호가 다시 말했다.

순임금이 임종 때 우에게 명했습니다.

그대는 다음의 것을 경계하라. 육체는 자연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으며, 심정은 본성을 따르는 것보다 더 좋은 것이 없다.’

자연을 따르면 서로 떨어지지 않게 되고, 본성을 따르면 수고롭지 않게 되는 것입니다. 자연으로부터 떨어지지 않고 수고롭지 않게 된다면 학문을 추구하여 자신을 꾸미려 하지 않게 됩니다. 학문을 추구하여 자신을 꾸미려 하지 않게 되면 밖의 물건에 자신을 의지하지 않게 됩니다.”

 

- 莊子(外篇)20篇 山木5-

孔子問子桑雽曰:「吾再逐於魯, 伐樹於宋, 削迹於衛, 窮於商周, 圍於陳蔡之間. 吾犯此數患, 親交益疏, 徒友益散, 何與?

子桑雽曰:「子獨不聞假人之亡與? 林回棄千金之璧, 負赤子而趨. 或曰爲其布與? 赤子之布寡矣. 爲其累與? 赤子之累多矣. 棄千金之璧, 負赤子而趨, 何也?’ 林回曰彼以利合, 此以天屬也.’ 夫以利合者, 迫窮禍患害相棄也. 以天屬者, 迫窮禍患害相收也. 夫相收之與相棄亦遠矣. 且君子之交淡若水, 小人之交甘若醴. 君子淡以親, 小人甘以絶. 彼無故以合者, 則無故以離.

孔子曰:「敬聞命矣!徐行翔佯而歸, 絶學捐書, 弟子無揖於前, 其愛益加進.

異日, 桑雽又曰舜之將死, 乃命禹曰汝戒之哉! 形莫若緣, 情莫若率. 緣則不離, 率則不勞. 不離不勞, 則不求文以待形. 不求文以待形, 固不待物.’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