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우발화[優鉢花] 우담발라화(優曇鉢羅花)의 약칭. 3천 년 만에 한 번 꽃이 피는데, 그때에는 금륜왕(金輪王)이 세상에 나온다 한다.

우번[虞翻] 삼국시대 오() 나라 여요(餘姚) 사람으로, 역리에 정통하여 역주(易注)를 저술하였다. 조정에서 바른 말을 잘 하다가 교주(交州)로 귀양가서 수많은 제자를 길러냈는데, 일찍이 한탄하기를 나는 골격이 부드럽지 못해 윗사람에게 대들어 죄를 받았으니, 해변에 영원히 묻혀 살아생전에는 더불어 얘기를 나눌 자가 없고 죽어서는 파리가 조문객이 될 것이다. 천하에 나를 진정으로 알아주는 자가 한 사람이라도 있다면 더 이상 유감이 없겠다.”라고 하였다. <三國志 卷五十七 虞翻傳>

우번기[虞翻棄] 우번(虞翻)은 삼국 시대 오() 나라 사람인데, 그는 성품이 강직하여 손권(孫權)에게 자주 직간(直諫)을 하다가 그의 비위에 거슬리어, 늙은 나이로 교주(交州)에 방기(放棄)되어 있으면서 찾아온 수많은 문도(門徒)들에게 강학(講學)을 하고, 또한 저서(著書)에 힘쓰다가 70세의 나이로 그 곳에서 죽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三國志 卷五十七>

우번박상[虞翻薄相] 우번은 삼국 시대 오왕(吳王) 손권(孫權)의 신하로, 거침없이 입바른 소리를 하다가 남쪽 변방으로 쫓겨갔는데 나는 원래 골상이 아첨할 수 없게 되어서, 윗사람을 범한 나머지 이렇게 죄를 받고 해변 구석으로 쫓겨나 죽게 되었다.[骨體不媚 犯上獲罪 當長沒海隅]”고 말한 고사가 있다. <三國志 卷57 吳書 虞翻傳>

우보[羽葆] 임금의 수레를 장식하는 것으로, 새의 깃으로 만든 화개(華蓋)이다.

우보상[羽葆桑] 우보는 임금의 수레에 덮는 일산. 유비(劉備)가 탁군(𣵠郡)에서 궁하게 살았는데, 그집 문 앞에 뽕나무가 우보(羽葆)의 모양과 같으니 사람들이 모두 이상히 여겼다. 유비가 어릴 적에 아이들과 놀면서 내가 장래 이런 일산으로 덮는 수레를 탈 것이다.”라고 하더니, 뒤에 과연 촉() 나라를 점령하여 황제가 되었다. <三國志 蜀志 劉備傳>

우복[愚伏] 정경세(鄭經世)의 호이다.

우복서정[牛腹書呈] 귀신방(鬼神方)으로 한 무제의 총애를 받던 소옹(少翁)이 방술의 효력이 점점 없어지자 남 몰래 백서(帛書)를 소에게 먹이고는 한 무제를 속여 소를 잡아 백서를 꺼내게 해 자신의 신통력을 과시하려 했던 일을 말하는데, 이 위서(僞書) 사건으로 결국 죽임을 당하였다. <史記 封禪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