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용거[容車] 휘장을 둘러친 수레로 군주가 타고 다니던 융거를 말한다.

용건식토[龍巾拭吐] 당 나라 이백(李白)이 장안 저자에서 술에 취해 자다가 갑자기 현종(玄宗)의 부름을 받아 궁중에 들어가 침향정(沈香亭)에서 모란을 읊은 청평사(淸平詞) 3수를 지을 새, 취한 것을 깨우려고 현종이 친히 수건으로 입가에 토한 것을 훔치었다.

용검[龍劍] 땅에 묻혀 하늘의 두우(斗牛) 간에 자기(紫氣)를 내뿜고 있다가 뇌환(雷煥)에 의해 발굴되었다는 용연검(龍淵劍)을 말한다. <晉書 張華傳>

용검사우빈[龍劍射牛頻] 용검(龍劍)은 용천검(龍泉劍)으로, 중국의 보검 이름이다. () 나라 때 오() 땅에 붉은 기운이 하늘의 우수(牛宿)와 두수(斗宿) 사이로 뻗치는 것을 보고 장화(張華)가 그곳을 파서 이 용천검을 얻었다고 한다.

용검직충우[龍劍直衝牛] 용천검(龍泉劍)은 중국의 보검 이름이다. () 나라 때 오() 땅에 자색 기운이 하늘의 우수(牛宿)와 두수(斗宿) 사이로 뻗치는 것을 보고 장화(張華)가 보검을 얻었다고 한다.

용견음득설중시[聳肩吟得雪中詩] () 나라 맹호연(孟浩然)이 경사(京師)에 가던 도중에 눈을 만나 지은 시를 말한다. 이를 두고 송() 나라 소식(蘇軾)또 보지 못하는가, 눈 오는 날 당나귀 탄 맹호연의 그 모습을. 시 읊느라 찌푸린 눈썹 산처럼 옹그린 그의 어깨.[又不見雪中騎驢孟浩然 皺眉吟詩肩聳山]”라고 읊은 유명한 시구가 전한다. <蘇東坡詩集 卷12 贈寫眞何充秀才> 참고로 맹호연의 부경도중우설시(赴京途中遇雪詩)’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迢遞秦京道 蒼芒歲暮天 窮陰連晦朔 積雪滿山川 落雁迷沙渚 飢鳥噪野田 客愁空佇立 不見有人煙

용경[容經] 가의(賈誼)의 저서인 신서(新書)의 편명인데, 내용은 곧 지()()()()()()()() 등에 있어 동작 절도(動作節度) 등의 법칙에 관하여 서술한 것이다.

용고[龍膏] 용의 기름. 습유기(拾遺記)연 소왕(燕昭王) 3년에 해인(海人)이 용의 기름 몇 말[]을 진상하자, 왕이 등촉(燈燭)으로 사용하여 그 광명이 1백 리까지 비쳤으므로 국민들이 모두 서광(瑞光)으로 여겼다.”라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