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백아곡[白鴉谷] 백아곡은 검단산(黔丹山)북쪽에 있는데 작설차가 난다.

백아곡[白鴉谷] 백아는 반포(反哺)할 줄 모른다는 까마귀이다.

백아금[白牙琴] 백아는 춘추 시대 초나라 사람으로 거문고를 잘 탔다. 백아가 거문고를 타면 종자기(鍾子期)가 잘 알아들었다. 백아의 뜻이 높은 산에 있으면 종자기가 말하기를 높고 높은 산 같구려.”라 하고, 백아의 뜻이 흐르는 물에 있으면 일렁일렁 흐르는 물 같구려.”라 했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가 거문고의 줄을 끊었다 한다.

백아유수[伯牙流水] 춘추(春秋) 시대의 거문고의 명수 백아가 고산유수곡(高山流水曲)을 타면,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그 의미를 잘 알아들었는데, 종자기가 죽자 백아는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고 한다.

백아절현[伯牙絶絃] 백아(伯牙)가 친구인 종자기(鐘子期)의 죽음을 슬퍼하여 거문고 줄을 끊었다는 고사에서, 참다운 벗의 죽음을 이르는 말이다.

백아절현[伯牙絶鉉] 자기를 알아주는 참다운 벗의 죽음을 슬퍼함을 이른다. 백아(佰牙)는 거문고를 잘 타고 종자기(鐘子期)는 이 거문고 소리를 잘 들었는데, 종자기가 죽은 뒤 백아는 절망한 나머지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들을 만한 사람이 없다고 거문고 줄을 모두 끊어버리고 다시는 거문고를 타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백아절현[伯牙絶絃] 전국시대(戰國時代) 거문고의 명수로 이름이 났던 백아(伯牙)에게는 자신의 음악세계를 알아주는 유일한 사람인 종자기(鍾子期)가 있었는데, 종자기가 죽자 슬퍼하여 거문고 줄을 끊어버리고 더 이상 거문고를 다루지 않았다는 고사이다. 가장 친한 친구가 죽었을 때의 슬픔을 이르거나, 알아주는 사람이 없어짐을 이르는 말이다. <지음(知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