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공도[司空圖] 사공도는 시의 품격을 24종으로 나누어 논한 이십사품(二十四品)을 지은 당 나라 때 인물이다.

사공돈[謝公墩] 이백(李白)의 시 등금릉야성서북사안돈(登金陵冶城西北謝安墩)’, 자주(自注)이 돈대는 바로 진() 나라 태부(太傅) 사안(謝安)과 우군(右軍) 왕희지(王羲之)가 함께 올라가 초연히 고세(高世)의 뜻을 품었던 곳이다. 그래서 내가 장차 이곳에 동산을 꾸밀 생각을 하면서 이 시를 지었다.”고 하였다. <李太白集 卷20> 사공돈은 사안돈(謝安墩) 혹은 사부돈(謝傅墩)으로 쓰이기도 한다.

사공등해교[謝公登海嶠] 사공(謝公)은 명산(名山)의 유람을 즐겼던 남조 송(南朝宋)의 시인 사영운(謝靈運)을 가리키고, 해교(海嶠)는 사영운이 등정했던 임해군(臨海郡)의 산 정상을 말한다. 소식(蘇軾)의 시에 엄자릉(嚴子陵)은 동려의 시내에서 낚시를 했고, 사영운은 임해의 산 정상에 올랐어라.[嚴光桐廬溪 謝客臨海嶠]”라는 구절이 있다. <蘇東坡詩集 卷23 翰林讀書言懷 呈集賢諸學士>

사공유흥유쌍극[謝公遺興唯雙屐] 동진(東晋) 사령운(謝靈雲)이 등산하기를 좋아하여 산에 오를 적에는 나무신의 뒷굽[後齒]를 떼고 내릴 적엔 앞굽을 떼었다.

사공중곡[射空中鵠] 허공에 대고 쏘았는데 과녁에 적중한다는 뜻으로, 무턱대고 한 일에 성공하게 된다는 것을 비유하는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