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사공증영중서계[謝公曾詠中書階] 사공은 남제(南齊)의 문장가 사조(謝朓)를 가리킨다. 그의 자는 현휘(玄暉)로 특히 오언시(五言詩)에 능하였는데, 일찍이 중서성(中書省) 당직이 되었을 때 작약시(芍藥詩)를 읊었다.

사공지[謝公池] 남조(南朝) ()의 시인 사령운(謝靈運)이 그의 종제(從弟) 혜련(惠連)을 높이 칭찬하여 말하기를 시를 지을 때마다 혜련을 대하기만 하면 아름다운 싯구가 나온다.”하였는데, 일찍이 영가(永嘉)의 못가에서 시를 지을 때 하루 종일 시상이 떠오르지 않다가 갑자기 꿈속에서 혜련을 보고난 뒤에 못가에는 봄풀이 돋아나고요. 동산 버들 우는 새 재주부리네.[池塘生春草 園柳變鳴禽]”라는 명구(名句)를 지었다고 한다. <南史 卷十九 謝惠連傳>

사공편[謝公篇] 동진(東晉)의 명상(名相) 사안(謝安)이다. 풍류 재상으로 시()에도 능했다.

사공한사[司空閑事] () 나라 유우석(劉禹錫)이 화주 자사(和州刺史)에서 면직되어 서울로 돌아왔을 때, 사공(司空) 이신(李紳)이 그를 위해 연회를 베풀어주었는데, 유우석이 가기(歌妓)에게 마음이 끌려 궁중 미녀처럼 곱게 꾸민 머리 모습, 봄바람처럼 두위랑 한 곡조 들려주네. 사공께선 실컷 즐겨 들어서 시들하겠지만, 강남 땅 자사는 애간장이 끊어지오.[髾髮梳頭宮樣妝 春風一曲杜韋娘 司空見慣渾閑事 斷盡江南刺史腸]”라고 즉석에서 시를 지어 부르자, 이 사공이 그 가기를 그에게 내주었던 고사가 있다. <本事詩 情感>

사공행악지[謝公行樂地] 남조(南朝) 남제(南齊)의 시인 사조(謝朓)가 선성(宣城)의 태수로 있으면서 산수 풍경을 읊으며 즐겼다는 데서 경치 좋은 지방을 가리킨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