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업장[業障] 불교에서 말하는 정도(正道)를 해치는 중생(衆生)의 탐욕(貪欲진혜(瞋恚) 등을 말한다.

업중[業中] 남자 무당을 가리키는 말이다.

업중재자[鄴中才子] 조조(曹操)의 아들이요, 조비(曹丕)의 동생인 조식(曹植)을 가리킨다. 삼국 시대 위() 나라의 수도가 업()이었기 때문에, 보통 위 나라를 업중이라고 표현하기도 한다.

업중적[鄴中賊] 조조(曹操)를 가리킨다. 조조가 업성(鄴城)에 도읍을 정하였다.

업풍[業風] 불교 용어로, 선악(善惡)의 업()이 바람과 마찬가지로 사람으로 하여금 삼생(三生)을 윤회하게 한다는 뜻이다. 또는 절 안에 부는 바람을 말한다.

업하[鄴下] 삼국 때 조조(曹操)의 도읍. 지금 하남성 임장현(臨漳縣). 서쪽에 고성(故城)이 있다.

업화[業火] 이 세상에 이욕(利慾)으로 속이 타는 것을 모두 업화(業火)라고 한다.

업후[鄴候] 당 나라 업현후(鄴縣侯)에 봉해졌던 당() 나라 이필(李泌)을 가리킨다. 그의 서가에 3만 권의 책이 꽂혀 있었으므로 장서가(藏書家)를 이야기할 때 곧잘 인용된다.

업후[鄴侯] 업후는 당() 이필(李泌)의 봉호이다. 그의 아버지 승휴(承休)2만여 권의 서책을 모아서 자손에게 물려주었다고 한다. <鄴侯家傳>

업후삼만축[鄴侯三萬軸] () 나라 업후(鄴侯) 이필(李泌)이 집에 장서(藏書)가 많았는데, 한퇴지(韓退之)의 시에 업후의 집에 책이 많아 3만 축을 시렁에 꽂았네.”라는 글귀가 있다.

업후서[鄴候書] 업후(鄴候)는 당()의 이필(李泌)을 말한다. 이필의 아버지 이승휴(李承休)가 대단한 부호로서 2 만여권의 장서를 가지고 있었으므로 장서가 많은 것을 업후서(鄴候書)라고 한다. <唐書 李泌傳>

업후장[鄴侯藏] 업후(鄴侯)는 당() 나라 이필(李泌)의 아버지인 이승휴(李承休)의 봉호이다. 이승휴의 장서(藏書)2만여 권이나 되었으므로 이른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