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어부[御府] 황제의 의복을 관장했던 관부로 소부(少府)에 속했다.

어부곡[漁父曲] ()의 굴원(屈原)이 쓴 어부사(漁父辭)를 말한다.

어부지리[漁父之利] 도요새가 조개를 쪼아먹으려다가 둘 다 물리어 서로 다투고 있을 때 어부가 와서 둘을 잡아갔다는 고사에서 나온 말이다. 둘이 다투는 사이에 제삼자가 이득을 보는 것을 이른다. 견토지쟁(犬兎之爭)

어부지리[漁父之利] 둘이 다투는 통에 제삼자가 이익을 봄. 도요새와 무명조개가 다투는 틈을 타서 어부가 둘 다 잡았다는 전국책(戰國策)의 연책(燕策)의 고사에서 유래한다. 어리(漁利). 견토지쟁(犬兎之爭방휼지쟁(蚌鷸之爭)

어불성설[語不成說] 말이 하나의 일관된 논의로 되지 못한다. , 말이 이치(理致)에 맞지 않음을 뜻한다.

어사구[漁簑句] 어사란 고기잡이가 도롱이 쓰고 있다는 뜻으로 당() 나라 도관낭중(都官郞中)이었던 정곡(鄭谷)의 설시(雪詩)강 위에 해질 무렵 그림 그릴 만한 곳에 이르니[江上晩來堪畫處] 고기잡이 도롱이 걸치고 집으로 돌아가네[漁人披得一簑歸]”라고 읊은 것을 가리킨다.

어사왕관곡[御史王官谷] 어사는 당() 나라 때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가 되었던 사공도(司空圖)를 이른다. 사공도는 본디 절의가 뛰어났는데, 세상이 어지러워짐을 보고는 선인(先人)의 토지가 있던 중조산(中條山) 왕관곡(王官谷)으로 들어가 정관(亭觀)을 지어 이를 휴휴정(休休亭)이라 이름하고 여기에 끝내 은거하였던 고사이다. <唐書 卷一百九十四>

어사중승[御史中丞] 진한(秦漢) 때 어사대부 바로 밑의 중요한 속관으로 녹봉은 천석이다. 궁중의 도서와 장부를 관장했고 내부적으로 시어사(侍御史)들을 거느리고 밖으로는 자사(刺史)들을 감독하며 백관의 규찰을 담당했다.

어사총[御史驄] 동한(東漢)의 환전(桓典)이 시어사(侍御史)가 되어 권귀(權貴)를 가차없이 처벌하였으므로, 그가 총마(驄馬)를 타고 거리에 나가면 사람들이 모두 무서워하면서 꼭꼭 숨어라, 총마 어사 나가신다.”고 말했다는 고사가 전한다. <後漢書 卷37 桓榮列傳 附 桓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