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아박수[兒拍手] 이백(李白)의 양양가(襄陽歌)양양의 어린이들 모두 손뼉 치며 길 막고 너나없이 백동제(白銅鞮)를 부르네.”라 하였다.

아반[蛾班] 양성(兩省)의 공봉관(供奉官)이 동·서에서 마주 서 있는 것을 말한다. 아미반(蛾眉班).

아방궁[阿房宮] 중국 진()나라의 시황제(始皇帝)가 세운 궁전이다.

아배각[兒輩覺] () 나라 때 왕희지(王羲之)가 사안(謝安)에게 말하기를 늘그막에 이르러서는 의당 음악을 즐겨서 근심을 풀어야 하는데, 항상 아이들이 알까 염려하는 생각에 즐기는 맛이 감소된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晉書 卷八十>

아부[亞父] 범증(范增)의 별칭인데, 항우가 범증을 아버지 다음으로 존경한다는 뜻에서 붙여준 칭호이다.

아부[餓夫] () 나라 무왕(武王)이 주()를 치는 것에 반대하여 수양산(首陽山)에 숨어서 충신의 절개를 지키면서 고사리로 연명하다가 굶어 죽었다는 백이(伯夷)와 숙제(叔齊)를 가리킨다.

아부견와[亞夫堅臥] 아부는 주발(周勃)의 아들인데 강후(降侯)에 봉해졌다. 한 경제(漢景帝) 때 오() 나라와 초() 나라가 반란을 일으키자 주아부로 하여금 정벌하도록 하였다. 아부가 출전하지 않고 날랜 군사를 파견하여 은밀히 오초의 식량 보급로를 차단하자 오초가 식량이 떨어져 철수하려고 자주 도전해 왔으나 끝내 출전하지 않았다. 어느 날 밤중에 군중(軍中)이 놀라 요란하게 서로 공격하며 장막의 부근에까지 이르렀으나 주아부가 꼼짝도 하지 않고 누워 있자 다시 진정되었다. 그 뒤에 오초가 굶주림에 시달려 퇴각하자 출격하여 큰 전공을 거두었다. <漢書 卷 40 周亞夫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