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금하[金河] 금하는 대흑하(大黑河)라는 강물 이름으로 북변(北邊)의 둔수(屯戍) 지역을 뜻한다.

  • 금학[琴鶴] 거문고와 학. 벼슬살이하는 사람이 탐욕을 부리지 않고 거문고와 학을 신변에 두어 즐긴다는 것으로, 청렴하게 벼슬살이를 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 금학사[琴學士] 고려 때의 금의(琴儀)를 가리킨다. 금의는 명문장가로, 한림별곡(翰林別曲)에서 금학사(琴學士)라고 지칭하였다.

  • 금할[鈐轄] 금할은 지방의 벼슬 이름이다. 송사(宋史) 직관지(職官志)총관금할사(總管鈐轄司)는 군려(軍旅)와 둔수(屯戍)의 일을 맡아 본다.”라고 하였다.

  • 금함[金函] 유사(遺事)명황이 국정(國政)을 걱정하고 힘써 바른 말을 다 받아들였고, 혹 풍간(諷諫)하는 소장(疏章)이 있으면 치도(治道)에 우수한 것을 뽑아 금함 속에 넣어 측근에 두고 수시로 꺼내 읽어 잠시도 게을리 한 바가 없었다.”고 하였다.

  • 금함구[金緘口] 공자가 주() 나라에 구경 가 태조후직(后稷)의 묘()에 들어갔더니, 묘당 우편 섬돌 앞에 쇠사람[구리로 만든 사람]이 있는데, 세 군데로 그 입을 꿰매고, 그 등에 새긴 글에 옛날의 삼가는 사람이라 했다.

  • 금향랑[錦香囊] 석류 열매를 말한다. 장포(張布)의 석류가(石榴歌)가을 바람에 떨어져 부서진 금향랑, 앵무새가 빨간 콩알 쪼아 먹누나[霜風擊破錦香囊 鸚鵡啄殘紅豆顆]”라는 구절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