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금년추야무[今年錐也無] 백성들의 빈궁한 상황이 최악의 상태에 이르렀다는 말이다. 장자(莊子) 도척(盜跖)요 임금과 순 임금은 천하를 소유하였지만, 자손들은 송곳 꽂을 땅도 없었다[堯舜有天下 子孫無置錐之地]”라는 말이 나오는데 경덕전등록(景德傳燈錄) 11권에 다시 작년 가난은 가난이 아니요, 금년 가난이 진짜 가난이라. 작년엔 송곳 꽂을 땅이 없더니, 금년엔 땅에 꽂을 송곳조차 없다네[去年貧 未是貧 今年貧 始是貧 去年無卓錐之地 今年錐也無]”라는 게송(偈頌)이 실려 있다.

  • 금뇨제[金褭蹄] 말발굽 모양의 황금이다. 황금(黃金)의 이칭(異稱)으로, 한 무제(漢武帝) 태시(太始) 연간에 백린(白麟천마(天馬황금을 발견하고는 황금을 인지(麟趾요제(褭蹄)의 형상과 같이 고쳐 주조(鑄造)했던 데서 온 말이다.

  • 금니옥검[金泥玉檢] 금니는 수은과 황금가루를 혼합한 물질이고 옥검은 옥으로 만든 서함(書函) 뚜껑이다. 제왕이 뛰어난 공을 이루어 천하가 안정이 되면 하늘에 고하기 위해 직접 태산(泰山)에 올라가 봉선(封禪)을 행하는데, 이때 그 공적을 기록한 책을 상자에 담고 옥검으로 덮은 뒤에 금니로 봉하여 그 행사에 사용했다고 한다. 한서(漢書) 무제기(武帝紀)태산에 올라 봉 제사를 행하다[登封泰山]”의 주()금책(金策) 석함(石函)과 금니(金泥) 옥검(玉檢)을 들고 올라가 봉()을 행한다.”라고 하였는데, 금니는 황금으로 도색하는 것을 말하고 옥검은 옥첩서(玉牒書)를 봉함한 궤이다.

  • 금단[金丹] 방사(方士)들이 금석(金石)을 정련하여 만든 단약(丹藥)으로, 이것을 복용하면 불로장생할 수 있다고 한다. 포박자(抱朴子) 금단(金丹)금단의 본성은 오래 달굴수록 그 변화가 더욱더 신묘하다. 황금이 불 속에 들어가면 백 번을 정련해도 녹아 없어지지 않으며, 땅에 묻으면 이 세상이 다할 때까지 썩지 않는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