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굴묘편시[掘墓鞭屍] 묘를 파헤쳐 시체에 매질을 한다는 뜻으로, 통쾌한 복수나 지나친 행동한다는 뜻의 고사성어이다. 오자서는 초()나라 충신이자 평왕(平王)의 태자 건()의 태부(太傅)인 오사(伍奢)의 아들이었다. 같은 건의 소부(小傅)인 비무기(費無忌)의 모함에 빠져 평왕은 오자서의 아버지와 형을 죽였다. 비무기는 오자서까지 죽이려 했으나 오자서는 몸을 피해 망명길에 올랐다. 평왕은 오자서를 잡으려 영을 내리고 방방곡곡에 화상을 붙여 아무도 그를 숨겨 주지 못하게 했다. 오자서는 낮에는 산속에 숨고 밤에만 길을 재촉해 가까스로 오나라로 망명하는데 성공했다. 이후 오자서는 오나라에서 인정을 받아 오나라의 군대로 초나라를 치는데 성공하게 됐다. 평왕은 그때 이미 죽고 그 아들 소왕이 있었으나 이 또한 도망쳐 잡지 못하고 말았다. 이에 오자서는 평왕의 무덤을 찾아 복수하려 했다. 그러나 평왕은 깊은 못 가운데 묘를 만들고 묘를 만든 석공 오백명을 모조리 죽여 수장해 버려 아무도 그 위치를 아는 이가 없었다. 오자서가 묘를 찾고자 애쓰던 어느날 한 노인이 묘의 위치를 알고 있다고 했다. 노인은 평왕의 무덤을 만들었던 석공의 하나인데 오백명의 석공을 다 죽인데 대한 복수를 하고 싶어 오자서에게 묘의 위치를 알려 준 것이었다. 오자서는 평왕의 무덤을 찾아 파헤치니 먼저 가묘가 나오고 가묘를 들어내자 수은으로 채워진 관에 평왕의 시체가 살아있는 모습 그대로 있었다. 오자서는 순간 분노가 폭발해 평왕의 시체를 깔고 앉아 충신과 간신을 구별 못하는 네놈의 눈을 뽑아 버리겠다고 소리치며 눈알을 뽑아 버렸다. 그리고는 시체를 꺼내 철장으로 삼백대를 내리쳐 시체의 뼈와 살이 흙과 함께 떡이 돼버렸다. 후에 오자서의 친구 신포서(申包胥)좀 지나친 복수가 아닌가하자, 오자서는 나는 날이 저물고 갈 길이 멀어 그래서 거꾸로 걸으며 거꾸로 일을 했다고 대답했다 한다.

  • 굴문첨[屈問詹] 초사(楚辭) 복거(卜居)마음이 번거롭고 생각이 현란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겠기에 태복(太卜) 정첨윤(鄭簷尹)을 찾아가 보았노라.”라고 하였다.

  • 굴송[屈宋] 전국 시대 초() 나라의 불우했던 시인 굴원(屈原)과 그의 제자 송옥(宋玉)의 병칭으로 모두 사부(詞賦)의 대가이다. 당 나라 두심언(杜審言)이 자신의 문장을 자랑하여 나의 문장은 굴원송옥(宋玉)을 불러다가 아관(衙官)을 삼을 만하다.”라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