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공상유신[空桑有莘] 공상은 은() 나라 탕() 임금의 재상인 이윤(伊尹)이 태어난 곳으로, 이윤이 유신씨(有莘氏)의 들판에서 농사를 짓고 있다가 세 차례에 걸친 탕의 초빙에 마침내 응하였다.

  • 공색[空色] 불교의 말로 색()은 곧 형체가 있는 만물을 총칭한 것이고, ()은 곧 이 형체 있는 만물 또한 인연(因緣)을 따라 생긴 것이요, 본래 실유(實有)가 아니기 때문에 공이라 한다는 것이다. 반야심경(般若心經)색은 공과 다르지 않고 공은 색과 다르지 않으니, 색이 곧 공이요 공이 곧 색이다[色不異空 空不異色 色卽是空 空卽是色]”라고 하였다.

  • 공생[工省] 힘이 적게 들다.

  • 공서산하[功誓山河] () 나라에서 처음 천하를 통일하여 공신(功臣)을 봉()할 때에 맹세한 말이다. “황하(黃河)가 띠[]만큼 되고, 태산이 숫돌[]만큼 될 때까지 나라를 길이 보전하자.”라고 하였다.

  • 공서양속[公序良俗] 공공의 질서와 선량한 풍속을 말한다.

  • 공석불난[孔席不煖] 공자와 묵자 두 분은 세상을 구제하기 위하여 돌아다니기 때문에 앉은자리가 따뜻할 겨를이 없고, 구들에 그을음이 타서 검게 될 겨를이 없었다는 것이다.

  • 공선계[公膳雞] 공선은 대궐에서 대신에게 공적으로 먹이는 식사를 말하는데, 좌전(左傳) 양공(襄公) 28년 조()공선은 매일 닭이 두 마리씩이다[公膳日雙雞]”라 하였다.

  • 공성[空性] 진여(眞如)의 이명(異名). 진여는 우리의 이지(理智)로는 파악할 수 없으므로, 일체가 모두 실체와 자성이 없다는 공()한 이치를 체득할 때에 나타나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공에 의하여 나타나는 실성(實性)이므로 공성이라 하는 것이요 진여 자체가 공이라는 것은 아니다.

  • 공성계사[孔聖繫辭] 공자는 주역(周易)을 좋아하여 계사(繫辭)의 상·, 문언전(文言傳) 등 십익(十翼)을 지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