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 고염무[顧炎武] 청 나라 초기의 고증학자. 호는 정림(亭林)이다.

  • 고영중[高瑩中] 고려(高麗)의 문신으로 옥구 고씨(沃溝高氏)의 시조이다. 벼슬은 태복경(太僕卿)이었다. <高麗史>

  • 고예[顧倪] 동진(東晉) 때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인물화에 뛰어났던 고개지(顧愷之)와 원() 나라 말기의 문인화가로서 특히 산수화에 뛰어났던 예찬(倪瓚)을 합칭한 말이다.

  • 고오[枯梧] 말라죽은 오동나무. 남이 의심할 만한 소지가 있으면 아무리 옳은 말 옳은 행동을 하여도 상대로부터 미쁨을 받지 못한다는 뜻으로 쓰인다. 어느 집에 말라죽은 오동나무가 있었는데 이웃에 사는 사람이 집에 말라죽은 오동나무가 서 있으면 상서롭지 못하다고 말하여, 그 말을 들은 주인이 그 나무를 베어버렸다. 그러자 그 이웃 사람이 와서 그 오동나무를 자기 집 땔감으로 달라고 하였다. 그러자 그 주인은 좋지 않은 안색을 하며 말하기를 기껏 자기 집 땔감을 구하기 위하여 나더러 이 나무를 베어버리라고 하였군.”이라고 하였다고 한다. <列子 說符>

  • 고옥산[顧玉山] 이름은 덕휘(德輝) 또는 아영(阿瑛), 자는 중영(仲瑛), 옥산은 호. 성격이 호탕하여 손님들과 시주(詩酒)를 즐겼고, 벼슬을 시키려 하매 도피했다. 저서로 옥산박고(玉山璞稿초당명승집(草堂名勝集)등이 있다. <新元史 卷二百三十八, 明史 卷二百八十五>

  • 고와[高臥] 속세의 정을 끊고서 뜻을 고상하게 가지고 지내는 것을 말한다. () 나라 사안(謝安)이 몇 차례나 조정의 부름에 응하지 않은 채 동산에 높이 누워[高臥東山] 지냈던 고사에서 유래한다. <晉書 謝安傳>

  • 고와[高臥] () 나라 사안(謝安)이 동산에 높이 누워[高臥東山] 임금의 분부에도 응하지 않았던 고사와 도잠(陶潛)이 북창 아래에 드러누워[高臥北窓之下] 스스로 복희씨 시대의 사람이라고 했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晉書 謝安傳, 隱逸 陶潛傳>

 

반응형